
< ADHD(주의력결핍과잉행동) 증후군 >
- 뇌파 활성 상태- Slow파와 hiBeta파 영역의 과잉활성
- 한가지에 주의집중 조절력이 부족함
- 주위의 여러가지 상황을 동시에 집중
- 예민한 감각, 신체적 불안정, 소근육 조절 문제- 악필
- 대근육 탁월- 운동 자질이 높거나 또는 부족
- 수면방해와 불면증(쉽게 잠이 깸)
- 활동적 수면, 이갈이, 하지불안증(하체 저림)
- 사회적으로 활동적임- 친구가 많음
- 안정 유지의 어려움, 위험 감수, 자신감 충만
- 주위가 산만할 경우 집중의 어려움(조용하면 집중 용이)
< 뇌활성 평가-Filtering >
- C3C4, F3F4, P3P4- T/B (4~8/13~21Hz) ratio : 1.2 이하 : 미드베타 이상 과활성 상태
- SMR- 개안 상태, 10% 이하
< 초기 훈련 목표 >
만 10세 이상-(폐안 유지 가능 시) Smr 강화(C3C4 또는 C4)- 신체적 안정과 서파 억제.
만 10세 미만- (폐안 어려운 경우) 알파 강화(C3C4 또는 C4)- 신체적 안정으로 서파억제
< Smr Training >
- 프로토콜- 나이에 따른 Smr 주파수 대역 설정- Smr 강화 – 전체 주파수 대역의 억제와 Smr 강화
- 세타 대역과 하이베타 대역 억제
< 훈련 목표 >
- 신체적 안정 유지 – 10~20회 이내, 신체적 안정유지가 부족하면, 훈련 방법의 점검 필요
- 충동적 활동 차단 – 전전두엽의 세타, 하이베타 억제가 충분해야 함
- 정서적 안정(트라우마 등) – 측두엽의 베타, 하이베타 과활성 안정 필요
평가를 통해서 정서적 안정을 우선 훈련 목표로 설정함 - 학습력 향상(정서적 불안정 등이 없을 경우)- 전두엽 세타, 하이베타 안정, 각성 유지 필요
< 훈련 지도 >
훈련 결과에 대한 칭찬보다는 도전의식 부여, 훈련 시작 전 호흡 훈련(호흡을 자주 멈추지 않도록 지도)
< 훈련 결과 >
- 사회성 향상, 감각통합과 기억력 개선, 불면증 개선, 조용한 수면, 이갈이 개선, 충동적 반응이나 사고, 행동의 개선, 학습력 향상
< 훈련 점검 >
훈련을 해도, 더 가만히 있지 못하고, 뇌파가 더 활성화 되거나, 화를 더 자주 내거나, 더 공격적이고, 말이 더 많아지면 훈련방법을 점검해야 함.
- Smr 프로토콜을 조절 필요(정확한 훈련 위치, 연령에 따른 SMR 대역 설정)
- 훈련 방법의 변경에 따라 신체적 안정, 평안함이 유지되면 훈련 지속